노력과 삽질 퇴적물

사회과학: 담론과 이데올로기 본문

이론&정리note

사회과학: 담론과 이데올로기

MTG 2011. 11. 11. 13:36

 

 

* 이 노트정리는 수업자료를 바탕으로 필기와 제 생각으로 풀어쓴겁니다.
   레포트등에 활용시, 출처 표기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화살표(->)로 표기된 추가설명된 부분은 제 생각 위주로 했습니다.





용어 정의.
담론?
 사회적 맥락에서 활성화되고, 사회적 맥락에 의해서 결정되어 사회적 맥락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기여하는 발화, 문장, 언술들의 집합체이다.
 담론은 진공상태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담론들, 자신들에 대해서 진리와 권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다른 사회적 실천과 다른 담론들고의 끊임없는 갈등 상태로 존재한다.
이데올로기(Ideologie)?
 인간, 자연, 사회에 대해 품는 현실적이며 이념적인 의식의 재형태[각주:1]

특징.

1. 담론의 특징
- 특정성 : 가치, 판단등의 체계
- 맥락성, 역사성 : 시대에 따른 사회풍토에 따라 일반적인것이 다르다.
- 위계성: 배제성
- 현실과의 관계성 : 가령 '4인 가족'이 일반적일때, 암묵적으로 규격이 되며 그 외의 형태는 언급할 가치가 없는것으로 간주되곤한다.



2. 이데올로기 사각형

   자기 집단  타자 집단
 긍정적 이미지
강화[+]
완화[-]
 부정적 이미지
완화[-]
강화[+]

-> 예를 들면, 중동에서 예민한 문제인 '종교전쟁'을 생각해보자.
국교A인 나라가 국교B인 나라와 적대시,
안보교육등의 캠페인 포스터등을 보면 '비굴하거나 사악한 이미지'(부정배제)가 적대국. '듬직하거나 선한 이미지'(긍정강화)가 자국이다.





기호의 의미작용.

- 말하는 주체&청자의 상삭에 따라 맥락(context)의 이해와 작용이 달라진다.
- 기호의 재생산 : 어떤 정보를 반복적으로 보여서 사실을 받아들이게 하는 것.



->여기서부터는 자체적인 결론이며, 평가결과상 방향성이 맞는 예시라고 할수 있다.
'사회적 담론 특징'들과 '기호의 의미작용'에 대해서 예시를 들면,

 

 

'돼지'에 대한 기호를 통해서 동서양/세대간의 이해 및 작용에서 살펴볼수 있다. 돼지에게는 다양한 이미지가 있는데, 그 중 '탐욕과 게으름'으로써의 부정적 이미지가 있다.
 동서양을 통틀어서 돼지는 게으르고, 탐욕스러움의 대명사다. 하지만, 같은 돼지라도 '똘이장군'에 나오는 붉은 수령돼지에

대한 이해와 문화, 역사나 연령대가 다르면 '기호의 이해'까지 달라진다.

 

 서양인이 예상 반응  조지 오웰의 소설, '동물농장'에 나오는 돼지장군
 배부른 돼지가 되기보다,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어라.
 동물캐릭터한테 굳이 종이가면을 씌운것을 무엇 때문인가?
 뒷목의 혹은 왜 있는것일까?
 한국인의 예상 반응  누가 돼지 아니랄까봐. (남녀노소)
 사람을 탈을 쓴 짐승 (남녀노소)
 빨갱이 돼지, 김일성 (중장년 이상, 기호를 완전히 이해)

이미지 기호 하나를 두고서도 이해한 내용들이 제각각이다.
 크게는 나라가 다른 만큼 담론적 맥락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소설 '동물농장'의 돼지장군과 같은 성향을 읽어낼수는 있다. '붉은수령'에 대한 역사적 배경(담론의 역사성)을 알지 않는 이상, 서양인 관점에서는 그저 '탐욕스런 돼지'와 '독재자'일뿐이다.
 그렇다면, 모든 한국인들은 저 것을 충분히 이해할까? 아니다.
20대 이하의 젊은 세대는 역사교육을 통해서 똘이장군에 나오는 늑대와 돼지(붉은수령)가 북한 괴뢰군을 표현한것을 알수 있다. 하지만, 됫목의 혹은 '아주 사소한 키워드'를 알지 않는 이상 의문점을 남게 된다.
그 사소한 키워드는 바로 아래의 사진에 있다.

 

 

 바로 북한의 '김일성'이다. 뒷목의 '혹'은 동시대 사람이 아니고선, 놓치기 쉬운 사소한 것이다. 역사에는 행적이 기록되지, 신체적 특이점은 논외사항이기때문이다.

결국 기호에 들어있는 생산자의 의도는 '같은 사회'(장소)일뿐 아니라, '같은 시대'(시간)이 맞아야 자연스레 알수 있는것이다.





참고자료.

똘이장군:

http://garden.egloos.com/10000124/post/373

 

  1.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25717 [본문으로]